JAVA/절차지향
데이터 타입(중요~)
SEOKIHOUSE
2023. 3. 8. 17:41
) 데이터크기 기초상식
1 bit x 8 = 1 byte
다음타입 넘어갈때 1024곱해야 함
2) 정수형 (byte, short, int, long) 메모리 크기 적을수록 실행 빠르지만 표현가능범위 좁으니 알아서 고르기~
주로 int사용~ (결과적으로 말해서 정수를 저장할 때는 int를 사용하면 된다. int 형을 처리 할 때 CPU의 처리속도가 빠르고, int는 충분히 큰 수를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이기 때문이다.)
ex) 1~10등 -> byte
남한의 인구 -> int
전세계 -> long

long a = 2515125125;
lona b = 1; -> 둘다 메모리 양은 동일함!! (데이터 타입이 long)
실수형 (float, double)
-실수형은 float과 double이 존재/ 기본형은 double(실수쓸 때 double을 쓰자) ->범위 벗어나면 float사용

문자 (char)
char | 2byte | 모든 유니코드 문자 |
문자와 문자열이 다르다. 문자의 집합 = 문자열 //
5글자의 String타입의 변수는 각각 2byte메모리를 사용하니까 = 10byte의 공간을 자치함
*String클래스는 내부적으로 문자 저장하기 위해 char형 배열을 사용함.
ex) String str = "하이용.";
System.out.println(str.length()); // 4(마침표 포함) x2 (byte) = 6byte사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