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)finally : 언제나 실행되는 로직
try {
예외의 발생이 예상되는 로직
} catch(예외클래스 인스턴스) {
예외 발생시 실행되는 로직
}finally {
예외여부와 관계없이 실행되는 로직
}
**계속 finally가 실행된당


언제 finally 쓰는거야?
ex)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해야 하는데
이때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내가 작성한 에플리케이션은 서로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됨.
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예외가 발생해서 더 이상 후속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예외가 발생했다고 데이터베이스 접속을 끊지 않으면 데이터베이스와 연결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as a result, 데이터베이스는 더 이상 접속을 수용할 수 없는 상태에 빠질 수 있다.
접속을 끊는 작업은 예외 발생여부와 상관없기 때문에 finally(작업의 뒷정리를 담당)에서 처리하기에 좋은 작업


filereader의 설명보기
과연 실행이 어라라.. 또 오류가? readline 위에처럼 먼뜻인지 함 보자


F1도움말

요런식으로 작동한다~
'JAVA > ★객체지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예외 만들기/(여러가지 예외들 설명)IllegalArgumentException //IllegalStateException ... (0) | 2023.03.13 |
---|---|
예외(3) - throw(폭탄돌리기) (0) | 2023.03.13 |
예외(1)/try catch + try with resource/ e.getMessage() /e.toString()/e.printStackTrace / (0) | 2023.03.13 |
다형성 (0) | 2023.03.13 |
interface // (abstract와 비슷하다 차이점 구별해두자) (0) | 2023.03.13 |